금융공공데이터 란?
금융위원회, 금융유관기관이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를 연계, 융복합, 표준화하여 오픈 API형태로 제공하는 빅데이터입니다.
(※ 오픈 API: 특정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정한 공개형 통신규칙)
금융공공데이터틑 디지털 경제시대가 도ㅗ래함에 따라 공공부문 보유 정보의 적극적인 개방을 통해 일자리 창출 및 국민 실생활에 유용한 서비스 개발 등을 지원하기 위해 개방되었습니다.
◇ 금융공공데이터 개방 참여기관 (2023.4.30. 기준)
금융기관 : 금융감독원, 예금보험공사, 한국산업은행, IBK기업은행, 신용보증기금, 한국자산관리공사, 주택금융공사, 서민금융진흥원, 한국예탁결제원, 한국거래소, 금융투자협회, 생명보험협회, 손해보험협회
금융공공데이터에 있는 정보
1. 통합기업정보 : 기본정보, 지배구조정보, 재무정보 등 기업 정보
2. 통합금융회사정보 : 기본정보, 계열회사정보, 통계정보 등 금융회사정보
3. 통합공시정보 : 전자공시시스템(DART)정보를 상호연계, 영업현황, 유가증권정보 등
4. 통합자본시장정보 : 유가증권 발행정보 거래정보 등 자본시장정보
5. 통합국가자산공매정보 : 국유재산 정보 및 공매자산 정보 등 국가자산정보
6. 금융회사통계정보 : 은행, 자산운용사, 신용카드사 등의 금융회사 상세정보 및 세부통계
7. 통합시세정보 : 전일 종가기준 주식, 채권, 파생상품 등 시세정보
8. 통합금융상품기본정보 : 펀드상품, 보험상품, 서민금융상품 등 금융상품의 가본정보
9. 통합개인사업자정보 : 개인사업자의 기본 정보, 재무정보, 금융정보, 평가정보
금융공공데이터 발전과정
1. 2019년 4월 : 금융위원회와 산하 금융공공기관 등 9개 참여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로 금융표준종합정보DB 구축
2. 2020년 6월 : 기업 및 금융회사 정보 등을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Open API형태로 개방
3. 2020년 9월 : 금융위원회와 산하 금융공공기관 등 참여기관이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을 통하여 금융공공데이터의 적극적 개방과 민간이용 활성활를 도모
4. 2021년 11월 : 특수법인의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Open API형태로 추가개방
5. 2022년 12월 : 산하 공공기관의 개인사업자 정보를 비식별화(익명화)하여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Open API형태로 추가 개방
금융공공데이터를 어디에 활용하나요?
1. 핀테크기업 - 맞춤형 금융상품 제안
핀테크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개인정보 + 펀드, 보험, 대출 등 금융상품 기본정보를 활용해 고객에게 맞춤형 금융상품을 제안해 빅데이터와 금융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신규 핀테크 서비스 창출
2. 연구기관 - 자본시장 선진화 기여
신용공여 잔고 추이, 증시자금추이 및 자본시장동향 등을 바탕으로 금융시장을 분석하고 연구해 자본시장 선진화에 기여
3. 일반 사용자 - 투자전략 수집 및 리스크 관리
무료로 손쉽게 일별 시세정보에 접근하여 주식배당정보 및 대차정보, 기업정보 등 금융공공데이터와 연계하여 투자전략 수립 및 리스크 관리
[출처 : 금융위원회]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냉방비 절감 종합지원' 총정리 (0) | 2023.06.05 |
---|---|
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 이렇게 달라집니다. (0) | 2023.05.30 |
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 신청방법 (0) | 2023.05.16 |
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50% 지원받기 (0) | 2023.05.14 |
통신요금 감면 혜택 신청하세요 (0) | 2023.04.11 |
댓글